개념 :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지급준비금 적립대상 채무의 일정비율(지급준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으로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예)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을 조정하여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고 금융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을 올리면 은행들은 더 많은 자금을 지급준비금으로 예치해야 하기 때문에 대출 취급이나 유가증권 매입 여력이 축소되고 결국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시중 유동성이 줄어들게 되고, 과도한 대출 증가로 인한 금융불안 가능성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경재용어 단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기업공개(Initial Public Offering_IPO) (1) | 2022.11.08 |
---|---|
15. 자산유동화기업어음(asset-backed commercial paper_ABCP) (1) | 2022.11.08 |
13. 직접금융(Direct Financing)/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 (0) | 2022.07.20 |
12. 여신금리(loan interest rates) / 수신금리(receiving interest) (0) | 2022.07.20 |
11. 경상수지(current account balance) (0) | 2022.07.18 |